이사를 해서 모뎀, 공유기 등이 바뀌거나 암호가 기억이 안날 때,
또는 갑자기 알 수 없는 이유로 나스 접속이 내부에서도 도저히 안될 때에는 1단계 초기화를 해야합니다.
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되고, 네트워크 설정과 admin 계정이 살아나고 그 암호는 빈칸으로, 방화벽등의 보안설정 등이 해제됩니다.
나스 뒷면의 RESET버튼을 전원을 켠 채로 클립이나 샤프펜으로 4초간 누르고 삐이 소리가 나면 놓습니다.
(뾰족한 바늘은 리셋스위치를 망가트릴 수 있으므로 사용치 마세요)
이후 잠시 기다렸다가
finds.synology.com 이나 synology assistant 앱으로 나스를 다시 찾어서 클릭하면 접속할 수 있습니다.
두 방법으로 안되면, 공유기의 관리도구에 접속해서 DHCP목록에 나스의 IP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.
나스의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기존 어드민 계정으로 로그인하거나 "admin/빈칸"으로 로그인 합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
다시 설정해야할 것들은
1) admin 비활성화
해킹방지를 위해서 새 admin계정으로 로그인을 한 후에 admin 계정을 비활성화합니다.
(DSM버전에 따라서는 최초 다시 로그인시에 admin 계정을 변경하는 절차가 나올 수도 있는데 그 경우 이 항목은 생략해도 됩니다)
2) 원래의 IP로 고정하기
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한 IP를 확인 후에 만약 바뀌었으면 원래의 IP로 수동으로 바꾼다.
원래의 IP를 모르면 공유기의 포트포워딩 항목에서 5000,5001,80,443,6690 포트 등을 포트포워딩한 내부IP로 확인할 수 있다.
(DHCP로 두고 공유기의 DHCP 설정에서 나스의 맥주소를 기준으로 고정으로 예약을 해두면, 나스를 새로 부팅했을 시 IP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.)
3) DSM 접속포트가 기본값인 5000,5001로 변경됨
기본값에서 다른 포트로 변경해서 사용했던 사용자는 다시 다른 포트로 변경해서 사용하세요
제어판-로그인포털-웹서비스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4) 보안설정
계정보호 활성화
방화벽 활성화
* 규칙 편집을 클릭해서 방화벽설정이 아무 것도 없는 사용자라면
1)내부 IP대역 허용
2)대한민국의 외부사용포트에 대해 허용(5000,5001,5005,5006,6690 등)
3)모두 -모두 - 차단의 형태로 설정해야합니다.
자동차단 활성화
참고:
https://kb.synology.com/ko-kr/DSM/tutorial/How_to_reset_my_Synology_NAS_7#t2
Synology NAS을(를) 어떻게 재설정하나요? (DSM 6.2.4 이상) - Synology 지식 센터
kb.synology.com
'시놀로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나스 차단IP 일괄 지우기 (0) | 2025.02.07 |
---|---|
시놀로지 USB 자동마운트 스크립트 (0) | 2025.02.03 |
델타 VX600 소형UPS 배터리 교체기 (0) | 2025.01.28 |
시놀로지 나스를 다른(외부) 시놀로지 나스에 공유폴더 동기화하기 (0) | 2025.01.28 |
시놀로지 나스에 USB 2.5Gbps 외장랜 설치하기 (0) | 2025.01.28 |